
스택, 큐 만알았지 덱의 존재를 처음알게되었다. 항상 스택,큐를 보면서 한계를 느꼈는데 이건 혁신적이다.
이는 마치 스택 큐의 융합인거같다.
스택으로 정보받아놓았는데 정순대로 나열해야하거나 큐로 받았는데 역순으로 해야하는 경우 난감했던 기억이 있다.
- 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 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 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끝
'🖋️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단어뒤집기2 17413 c++(이중vector, tag기능) (1) | 2022.12.24 |
---|---|
좌표정렬하기 11650 c++(pair, vector, 정렬) (0) | 2022.12.23 |
1158 요세푸스 문제 c++ (1. 큐로 풀기) (0) | 2022.12.23 |
백준 1406 에디터 c++ (1) | 2022.12.02 |
백준 빠른 오름차순 메시지 전달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