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5

bandit 9->10 해석 : 암호는 data.txt 안에 있는 휴먼 뤼더블 문자열중 하나이다. 그리고 몇개의 '=' char이 암호 앞에 있다. 자 한번 봅시다찾았다.G7w8LIi6J3kTb8A7j9LgrywtEUlyyp6s당연히 이렇게 하면 안되겠죠? ㅋㅋ이런것도 있네요.아마 = 이게 여러게 있는걸 필터링하면passwordG7w8LIi6J3kTb8A7j9LgrywtEUlyyp6s이렇게 출력되지 않을까 싶네용. 특정 키워드로 찾는걸 bandit 7->8에서 grep을 써서 해봤죵여기서도 해보면grep '=' data.txt새로운걸 배워봅니다. strings 커맨드인데요, 읽을수 있는 문자열을 출력하는거라고 하네요.그럼 이제 쌈@뽕하게 짬뽕해볼까ㅏ요오 several이니까 =를 여러번 정답이 명확하네요!G7w8LIi6J3kTb.. 2024. 5. 15.
bandit 6->7 우선 ls입력해도 아무것도 안떠서 당황했다.문제에선 서버 어딘가에 있다고 한다.bandit7이 소유하고 있가 group bandit6가 소유한다고 한다.사이즈는 33bytes다. 우선 지난시간에 find를 이용해서 사이즈를 찾았다. 이번에도 똑같이 너무 많다. 소유자 조건확인해서 필터링 해보자.이 역시 마찬가지로 find명령어에 플래그 붙이면 된다.bandit7이라는 user가 소유하고있고bandit6라는 group이 소유하고있다.find  / -user bandit7 -group bandit6 -size 33c 로 해보자. (여기서 /는 최상위 디렉토리부터 확인한다는 것이다.) 쭉 보다보면 하나가 있다. 근데 나머지 권한에러는 보기 싫다.https://powerco3e-lch.tistory.com/9 .. 2024. 5. 2.
bandit 4->5 human-readable file에 있다.우선 다 눈에 보인다. 휴먼 뤼더블,,하나 열어보니 이런 안읽힌다.설마 다 열어봐야 하는걸까? 그럴리가..? 문제 예시에 ls, cd, cat, file, du, find 중 이것저것 찾아보니 find 가 눈에 들어온다. find는 파일 유형을 알려주는 명령어라고 한다.현재 디렉토리의 것을 한번 돌려보자. 오오오오,,, 한놈이 다르다. 얘구나..신기하다. data는 휴먼뤼더블이 아니구나. 아스키 텍스트가 확실히 읽을수 있는거 맞다. 캣 해서 보면?lrIWWI6bB37kxfiCQZqUdOIYfr6eEeqR 끝~ 2024. 5. 1.
bandit 3->4 숨겨진 파일을 찾아라.ls만 하면 안보이는데 ls -al하니까 .hidden이 발견됐다. 2EW7BBsr6aMMoJ2HjW067dm8EgX26xNe  ps.리눅스에선 뭘 숨기고싶을때 앞에 .을 붙인다고 한다. ls ... 옵션부자 2024. 4. 29.
bandit 2->3 파일 이름에 공백이 있다.  기적의 탭탭  아하 \ 를 이용하면 바로 뒤의것을 본연의 기능이 아닌 하나의 요소로 만들어주는구나. 아마 ㅍㅏ일이름에 \가 있으면 \를 두번치면 되겠다. https://linuxhandbook.com/filename-spaces-linux/ Dealing With Spaces in Filenames in LinuxSpaces in the file names could be tricky, specially for new Linux users. Learn how to deal with them.linuxhandbook.com 여기 보니 이름을 ' ' 로 감싸도 된다고 한다.  aBZ0W5EmUfAf7kHTQeOwd8bauFJ2lAiG Good~~ 2024. 4. 29.